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나님의교회에는 없는 우상숭배 - 마리아상은 우상숭배다.

# 하나님의교회에는 없는 우상숭배 - 마리아상은 우상숭배다

 

 

 

마리아상은 우상숭배다

성경에서 알려주는 우상숭배는 십자가 뿐만 아니라, 천주교회에서 하나님이신 예수님의 어머니라 하여 동상을 만들어 놓고 그 앞에서 기도를 드리는 '마리아상' 또한 우상숭배라는 거 알고 계시나요?
언뜻보면 하나님의 어머니에 대한 예우를 다하며 효행의 본을 가르치는 아름다운 교리인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하나님의 뜻을 거스리는 행위라는 것을 성경을 통해 알 수 있어요.

 

마12:46~50

예수께서 무리에게 말씀하실 때에 그 모친과 동생들이 예수께 말하려고 밖에 섰더니 한 사람이 예수께 여짜오되 보소서 당신의 모친과 동생들이 당신께 말하려고 밖에 섰나이다 하니 말하던 사람에게 대답하여 가라사대 누가 내 모친이며 내 동생들이냐 하시고 손을 내밀어 제자들을 가리쳐 가라사대 나의 모친과 나의 동생들을 보라 누구든지 하늘에 계신 애 아버지의 뜻대로 하는 자가 내 형제요 자매요 모친이니라 하시더라

 

하나님을 잉태하였다고 해서 조물주의 어머니가 된다는 논리는 비성서적이지요. 

단지 예수님께서 이 땅에 육신으로 나타나시기 위해 피조물 중의 한 여자를 선택하신 것 뿐이지요.

 

 

마리아상 숭배의 기원

성경에 근거한 것이 아닌 천주교회의 마리아상 숭배의 기원은 어디일까요?

고대 바벨론 종교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창10:8)바벨론에는 '니므롯'이라는 강한 임금이 있었지요. 그에게는 '세미라미스'라고 하는 아내가 있었는데 남편의 힘에 의지하여 큰 권력을 행사해 왔습니다. 그러다 '니므롯'이 죽자 그가 태양신이 되었다고 주장을 하고, 그에게서 태어난 아들에게 '담무스'라는 이름을 붙이고 '니므롯'이 환생했다고 거짓말을 하며 이 모자를 숭배하도록 하였지요. 

바벨론의 유물 가운데 여신 '세미라미스'가 아들 '담무스'를 안고 있는 모습은 이같은 이유로 인하여 만들어진 바벨론 종교의 영향력 때문이었지요.

모자 숭배사상은 바벨론 종교이 영향을 받은 고대의 여러 국가들에 전승되었는데, 독일에서는 아들을 품에 안고 있는 여신 헤르다의 숭배 사상으로 발전했고, 인도에서도 '인드라니'라는 여신이 아이를 안고 있는 유적이 발견되는 것으로 바벨론의 모자 숭배 사상의 전파 범위를 짐작할 수 있지요. 

애굽에서는 바벨론의 어머니에 대응되는 신이 '이시스', 그리고 그의 아들이 '호러스'로 알려져 있었는데, 애굽에서 발견되는 신상에서도 공동적으로 어린 아기 호러스가 어머니의 무릎에 앉혀 있는 모습들이 새겨져 있답니다. 

이러한 종교적 사사상이 로마에까지 전파되었고 널리 성행하였지요.

이런 이교주의적 습성들이 초대교회에 접목되면서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마리아의 모습으로 형태만 변화시킨 채 이교주의적 우상숭배의 맥을 이러 내려왔던 것이 마리아 숭배사상의 기원입니다.

 

 

레26:1 

너희는 자기를 위하여 우상을 만들지 말지니 목상이나 주상을 세우지 말며 너희 땅에 조각한 석상을 세우고 그에게 경배하지 말라

 

 

 

신27:15

장색의 손으로 조각하였거나 부어 만든 우상은 여호와께서 가증하니 그것을 만들어 은밀히 세우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지금껏 살펴본 것처럼 성경에서는 마리아상은 우상이라고 알려주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결코 우상을 만들어 섬기지 말라고 하셨지요. 그렇다면 복의 근원이신 하나님께서 성경에 분명히 '우상'이라고 했다면 구원을 바라보고 하나님을 믿는다면 우상숭배를 하지 않는게 맞지 않을까요?